직접 만들고, 내 생각을 더하다
세상의 트렌드를 읽고 싶어하는 한 사람으로, 목공 DIY를 좋아하고, AI, n8n을 사용해 자동화 프로세스를 배우고 있다.

판례 찾기 지옥 탈출기: n8n RAG로 법률 리서치 혁명을 경험하다

n8n RAG로 법률 판례 검색 시간 92% 단축! 월 $20로 15초 만에 정확한 판례 찾는 변호사의 구축 스토리

판례 찾기 지옥 탈출기: n8n RAG로 법률 리서치 혁명을 경험하다

이 글은 가상의 사례를 만들어서 작성한 글임을 미리 밝혀둔다.
만약 내가 변호사 사무실에 근무하고 있는 변호사 또는 사무관이라고 가정하고, RAG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에 대해 말해보려고 한다.
물론, 요즘에는 개인이 전자소송포털(ecfs.scourt.go.kr)을 통해 직접 전자소송을 진행하거나, 서류를 제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개인들을 위한 AI 법률 지원 시스템도 개발되고 있고, 일부 서비스는 출시도 되었다고 알고 있다.
앞으로 개인들도 AI RAG를 통해 판례를 직접 찾아보고, 소장을 작성하는 것까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바로 앞단계를 생각해 보고 아래 글을 작성해 보았다.

"이 판례... 분명히 작년에 봤었는데..."

지난주까지만 해도 나는 매일 이 말을 했다.
법무법인 시니어 변호사로서 클라이언트 사건을 준비하면서 하루 평균 3시간을 판례 검색에 쏟아부었다.

15,000개가 넘는 PDF 판례 문서가 사무실 서버에 쌓여있지만, 정작 필요한 걸 찾으려면 한참을 헤맸다. 키워드로 검색하면 관련 없는 문서만 나오고, 비슷한 사건인데도 어떤 판례를 적용해야 할지 매번 고민했다.

그런데 이제는 완전히 달라졌다.

"부당해고 관련 최신 대법원 판결 중 금전 보상 판례는?"이라고 물으면 15초 만에 정확한 답변이 나온다. 판례 번호, 요지, 관련 조문까지 깔끔하게 정리되어 나타난다.


오늘은 n8n RAG 시스템으로 법률 리서치를 혁신한 일주일간의 여정을 공유하려고 한다.
판례 찾기에 지친 법률 실무자라면, 이 글이 당신의 업무 방식을 완전히 바꿀 수 있다.

😫 법률 리서치, 정말 이대로 괜찮은가?

법률 업무의 핵심은 정확한 판례 찾기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기존 방식의 한계들

💸 Westlaw/LexisNexis: 월 $500+ 비용 폭탄
상용 법률 DB는 강력하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다. 작은 법무법인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 키워드 검색의 한계
"부당해고"로 검색하면 수백 개가 나온다. 하지만 내가 원하는 건 "금전 보상" 사례인데, 키워드만으로는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
📅 최신성 문제
법은 계속 바뀐다. 3개월 전 판례가 최신 대법원 판결로 뒤집히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기존 시스템은 이런 변화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지 못한다.
👥 팀 협업의 어려움
선배 변호사가 찾아놓은 좋은 판례도 공유가 안 된다. 각자 비슷한 검색을 반복하며 시간을 낭비한다.

어느 날, 나는 계산해봤다. 월 90시간을 판례 찾기에 쓰고 있었다. 이건 변호사 시급으로 환산하면 엄청난 기회비용이었다.

💡 n8n RAG 시스템, 그 가능성의 발견

그러던 중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라는 기술을 알게 됐다. 처음엔 또 하나의 유행 기술인 줄 알았다.

하지만 조금 더 파보니, 이건 법률 리서치를 위해 만들어진 것 같았다.

RAG가 법률 분야에 강력한 이유

  1. 의미론적 검색: "부당해고 금전 보상"과 "해고 무효 확인 후 금전 배상"을 같은 의미로 인식한다
  2. 출처 명시: AI가 만들어낸 답변이 아니라 실제 판례를 가져온다. 판례 번호까지 정확히 제시한다
  3. 로컬 운영: 민감한 사건 정보를 외부에 보내지 않는다. 모든 데이터가 우리 서버에만 있다
  4. 실시간 업데이트: 새 판례를 추가하면 즉시 검색에 반영된다
"법률 분야에서 RAG 시스템은 리서치 시간을 70% 단축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게다가 검색 정확도는 92%에 달한다."
- Medium, Legal RAG Implementation Study, 2025

더 놀라운 건 n8n으로 직접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복잡한 코딩 없이 노드 기반으로 워크플로우를 만들 수 있다니!

🛠️ 실전 구축기: 7일간의 도전

결심했다. "이번 주 안에 만들어보자!" 7일간의 여정이 시작됐다.

1일차: 환경 구축과 템플릿 발견

가장 먼저 n8n 공식 법률 AI 어시스턴트 템플릿을 발견했다. 감동이었다!

이미 OpenAI + Pinecone + Telegram이 완벽하게 연동된 상태였다.

# n8n 설치 (Docker)
docker run -it --rm \
  --name n8n \
  -p 5678:5678 \
  -v ~/.n8n:/home/node/.n8n \
  n8nio/n8n

# Qdrant 벡터 DB 설치
docker run -p 6333:6333 -p 6334:6334 \
  -v $(pwd)/qdrant_storage:/qdrant/storage \
  qdrant/qdrant

하지만 첫 장애물이 나타났다. 공식 템플릿은 영어 중심이었다. 한국 판례에 최적화가 필요했다.

2-3일차: 판례 문서 벡터화

사무실에 쌓인 15,000개 PDF 판례를 처리해야 했다. 생각보다 까다로웠다.

📌 핵심 설정값

Recursive Character Text Splitter:
- Chunk Size: 2000 토큰
- Overlap: 400 토큰
- Separator: 판결요지, 판결이유 등 법률 문서 구조 반영
{
  "chunkSize": 2000,
  "chunkOverlap": 400,
  "separators": [
    "\n【판결요지】\n",
    "\n【이유】\n",
    "\n\n",
    "\n"
  ]
}

처음엔 1000토큰으로 잘랐다가 판례의 맥락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했다. 판결이유가 여러 청크로 나뉘면서 논리적 흐름이 사라진 것이다.

2000토큰으로 늘리고 400토큰 겹침을 주니 드디어 제대로 작동했다!

4-5일차: 메타데이터 설계의 중요성

단순히 텍스트만 저장하면 안 됐다. 법률 문서는 메타데이터가 생명이다.

// Qdrant에 저장할 메타데이터 구조
{
  "case_number": "대법원 2024도12345",
  "court_level": "대법원",
  "decision_date": "2024-03-15",
  "case_type": "형사",
  "main_issue": "부당해고",
  "result": "원고 일부 승",
  "related_law": ["근로기준법 제23조", "민법 제750조"],
  "keywords": ["부당해고", "금전보상", "해고예고수당"]
}

이렇게 구조화하니 하이브리드 검색이 가능해졌다. 의미 검색과 필터링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예를 들어 "2024년 이후 대법원 부당해고 판결"처럼 시간과 법원 레벨로 필터링하면서 의미 검색을 할 수 있다.

6-7일차: 검색 최적화와 실전 테스트

드디어 실제 질문으로 테스트할 시간이다!

✅ 테스트 질문
"경영상 필요에 의한 정리해고가 무효로 판단된 최신 사례를 알려줘. 특히 해고회피 노력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경우를 중심으로."

15초 만에 답변이 나왔다:

관련 판례: 대법원 2023다287653 (2024.2.29. 선고)

【판결요지】
근로기준법 제24조에 따른 정리해고의 정당성이 인정되려면 ① 긴박한 경영상 필요, ② 해고회피 노력, ③ 합리적이고 공정한 해고기준, ④ 근로자대표와 협의 등의 요건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본 사건에서 회사는 신규 채용을 지속하면서 구조조정을 단행하여 해고회피 노력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므로 정리해고는 무효이다.

관련 조문: 근로기준법 제24조
사건 유형: 민사
결론: 원고(근로자) 승소

완벽했다! 판례 번호, 요지, 핵심 쟁점까지 정확하게 잡아냈다.

📊 놀라운 변화: Before vs After

항목 Before (수동 검색) After (n8n RAG) 개선율
평균 검색 시간 2-3시간 15분 92% ↓
검색 정확도 65% 92% 42% ↑
월 비용 $500 (Westlaw) $20 (OpenAI) 96% ↓
일일 처리 건수 5-7건 20-25건 300% ↑
스트레스 😤😤😤😤😤 😊😊 쾌적!

측정 가능한 ROI

💰 투자 대비 효과 (8개월 기준)

초기 투자:
- n8n 클라우드: $0 (셀프 호스팅)
- Qdrant: $0 (로컬 설치)
- OpenAI API: $20/월
- 구축 시간: 40시간 (주말 활용)

절감 효과:
- DB 구독료 절감: $4,000
- 리서치 시간 절감: 약 180시간
- 시간 가치 환산: $18,000

총 ROI: 약 10,900%

더 중요한 건 정확도 향상이다. 잘못된 판례를 인용했다가는 소송에서 불리해질 수 있다. 92% 정확도는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신뢰의 문제다.

⚖️ 법률 윤리와 책임: 반드시 지켜야 할 것들

법률 AI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가장 신경 쓴 부분은 윤리와 전문가 책임이다.

ABA Model Rules 준수

📜 미국변호사협회 윤리 규칙

Rule 1.1 (역량)
변호사는 AI 도구의 기능과 한계를 이해해야 한다. RAG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떤 경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Rule 1.6 (기밀 유지)
클라이언트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고 저장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우리는 모든 데이터를 로컬 서버에 보관한다.

Rule 5.3 (보조인 감독)
AI를 "비법률가 보조인"으로 간주하고 적절한 감독이 필요하다.

Human-in-the-Loop: 반드시 검증하라

아무리 정확도가 92%라고 해도 100%는 아니다.

나는 다음과 같은 검증 프로세스를 만들었다:

  1. AI 답변 확인: RAG가 제시한 판례를 먼저 읽는다
  2. 출처 확인: 실제 판례 원문을 확인한다
  3. 법리 검토: 법적 논리가 타당한지 검토한다
  4. 최신성 확인: 이후 변경된 법률이나 판례가 있는지 체크한다
  5. 문서화: 검증 과정을 기록으로 남긴다
⚠️ 주의: RAG도 할루시네이션이 있다

Stanford Law School 연구에 따르면 RAG 기반 법률 AI도 17-33%의 할루시네이션이 발생한다고 한다.

따라서 반드시 변호사가 최종 검토해야 한다. AI는 보조 도구일 뿐, 전문가 판단을 대체할 수 없다.

🚀 지금 당장 시작하는 3단계

혹시 당신도 판례 찾기에 지쳐 있다면, 이렇게 시작해보자:

1단계: 환경 준비 (1시간)

# Docker로 n8n 설치
docker run -it --rm \
  --name n8n \
  -p 5678:5678 \
  -v ~/.n8n:/home/node/.n8n \
  n8nio/n8n

# Qdrant 벡터 DB 설치
docker run -p 6333:6333 \
  -v $(pwd)/qdrant_storage:/qdrant/storage \
  qdrant/qdrant

2단계: API 키 설정 (30분)

  • OpenAI API: platform.openai.com에서 API 키 발급 ($20 크레딧으로 충분)
  • Embeddings 모델: text-embedding-3-large 선택 (한국어 최적)

3단계: 워크플로우 구축 (3-4시간)

  1. n8n 법률 AI 템플릿 다운로드
  2. 판례 PDF 폴더 연결
  3. Qdrant 컬렉션 생성 및 연결
  4. 첫 번째 판례로 테스트
⏱️ 총 소요 시간: 5-6시간
주말 하루면 충분히 기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 운영 후기: "업무 방식이 완전히 바뀌었다"

3개월간 실제로 운영하면서 느낀 점들을 공유한다.

놀라웠던 점

  • 의미 기반 검색의 위력: "해고 무효"와 "부당한 해고"를 같은 의미로 인식한다
  • 시간 기반 필터링: "최근 6개월 대법원 판결"처럼 시점 검색이 정확하다
  • 복합 쿼리 처리: "근로자 승소 + 금전 보상 + 대법원"처럼 여러 조건을 동시에 검색한다
  • 신입 교육 시간 단축: 새로 온 변호사도 판례 DB를 바로 활용한다

아쉬운 점

  • 초기 설정의 복잡함: 메타데이터 설계가 생각보다 까다롭다
  • 스캔 품질 의존성: 오래된 판례는 OCR 인식이 불완전하다
  • 할루시네이션 위험: 17-33% 오류율로 반드시 검증이 필요하다

개선된 점

  • 팀 협업 향상: 모든 변호사가 같은 품질의 리서치를 한다
  • 클라이언트 만족도 상승: 빠른 답변으로 신뢰도가 올라갔다
  • 업무 스트레스 감소: 판례 찾기 스트레스에서 해방됐다

🎯 마무리: 이제 시작할 시간

3개월 전만 해도 "판례 찾기"는 일종의 고통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15초 만에 정확한 답변을 받는다.

가장 큰 변화는 업무 방식이다. 이제 나는 판례 찾기가 아니라 법리 분석과 전략 수립에 시간을 쓴다. 이게 변호사가 진짜 해야 할 일 아닐까?

"AI는 변호사를 대체하지 않는다. 하지만 AI를 쓰는 변호사가 AI를 안 쓰는 변호사를 대체할 것이다."
- The Tech Savvy Lawyer, 2025

당신의 사무실에도 분명 수천 개의 판례가 잠들어 있을 것이다. 이제 그 지식을 깨워서 모든 팀원이 활용할 수 있게 만들어보지 않을까?

월 90시간을 절약한다는 것은 새로운 사건을 수임할 수 있다는 뜻이다. 더 많은 클라이언트를 도울 수 있다는 의미다.

✨ 핵심 포인트 요약

✅ 92% 정확도로 15초 만에 판례 검색
✅ 월 $20 비용으로 무제한 검색 (96% 비용 절감)
✅ 완전한 데이터 통제로 기밀 유지
✅ 월 90시간 절약으로 핵심 업무 집중
✅ 법률 전문가도 주말 하루면 구축 가능

더 이상 판례 찾기에 시간 낭비하지 말자. 정말 중요한 법률 분석과 클라이언트 상담에 집중할 시간이다. 🚀

댓글 쓰기